청년 지원 정책

[기후동행카드] 그게 뭐야? : 서울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권(일부 경기도 포함)

jjun1297 2024. 10. 15. 19:31
반응형

서론 필요없이 빠르게 들어갑니다ㅏ

 

 

목차
1. 기후동행카드란?
2. 기후동행카드 이용 범위
3. 가격
4. 카드 발급 및 충전 방법
5. K-패스랑 뭐가 달라?

 

 

 


 

1. 기후동행카드란?

 

기후동행카드는 한 번의 충전으로 선택한 기간 동안 지하철, 버스, 그리고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입니다. 이 카드는 환경 보호를 위해 대중교통과 친환경 이동 수단을 장려하는 목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.

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서울 지역의 다양한 대중교통 수단과 따릉이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더불어 청년층(19~39세)을 위한 특별 할인 혜택도 제공됩니다.

 


 

 

  2. 기후동행카드의 이용 범위

 

 

기후동행카드를 통해 서울시 내 지하철, 버스,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으며, 일부 경기도 지역의 노선도 포함됩니다. 아래는 주요 이용 가능한 범위입니다:

  • 지하철: 서울 지역 지하철 대부분의 노선 (1호선부터 9호선, 경의중앙선, 수인분당선 등)
  • 버스: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, 마을버스, 심야버스 등
  • 따릉이: 서울시 자전거 대여 서비스인 따릉이 이용 가능

하지만 신분당선, 광역버스, 공항버스 등의 교통수단은 기후동행카드의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. 또한, 지하철을 타고 서울 외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, 추가 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서울에서 경기도로 이동할 경우, 해당 지역에서 하차 시 추가 요금이 부과됩니다.

 


 

3. 기후동행카드의 가격

 

 

 

기후동행카드는 다양한 기간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권종이 제공됩니다. 주요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30일권 (따릉이 포함): 65,000원 (청년 할인 58,000원)
  • 30일권 (따릉이 미포함): 62,000원 (청년 할인 55,000원)
  • 1일권: 5,000원 (따릉이 미포함)
  • 3일권: 10,000원 (따릉이 미포함)
  • 5일권: 20,000원 (따릉이 미포함)

30일권의 경우 따릉이 포함 여부에 따라 가격이 다르며, 따릉이를 포함한 경우 3,000원의 추가 비용이 있습니다. 단기권(1일권~5일권)은 따릉이 이용이 포함되지 않으니 참고하세요.

 


 

4. 카드 발급 및 충전 방법

 

기후동행카드는 모바일 카드실물 카드 두 가지 형태로 발급할 수 있습니다.

  1. 모바일 카드:
    • 안드로이드 휴대폰에서 티머니 앱을 통해 발급 가능합니다.
    • 충전 및 사용도 간편하며, NFC 기능을 활용해 승차와 하차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.
  2. 실물 카드:
    • iOS 사용자를 위해 실물 카드가 제공됩니다.
    • 실물 카드는 서울 지하철 역사 내 고객안전실이나 편의점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, 티머니 카드&페이 홈페이지에 등록해야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따릉이 이용 방법: 기후동행카드로 따릉이를 이용하려면 티머니 GO 앱에 카드 번호를 등록해야 하며, 사용 기간 동안 2시간 이용권을 무제한으로 제공합니다.

 

 

 


 

 

5. K-패스랑 뭐가 달라?

 

 

 

K-패스와 기후동행카드는 각각 고유한 특징과 장단점을 가지고 있습니다:

이용 범위:
- 기후동행카드: 서울 시내 지하철, 버스, 따릉이로 제한됩니다
- K-패스: 전국의 대부분 지역 버스, 지하철, GTX, 신분당선, 공항철도, 광역버스 등에서 사용 가능합니다

할인 방식:
- 기후동행카드: 월 정액제로 무제한 이용 가능합니다. 일반 62,000원, 청년(19-34세) 55,000원입니다
- K-패스: 이용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받습니다. 일반 20%, 청년(19-34세) 30%, 저소득층 53% 환급됩니다

유리한 경우:
- 기후동행카드: 서울 내에서만 생활하고 월 교통비가 77,500원 이상인 경우 유리합니다
- K-패스: 서울 외 지역을 자주 이용하거나 월 교통비가 77,500원 미만인 경우 유리합니다

제한 사항:
- 기후동행카드: 서울 외 지역 이용 시 추가 요금이 발생합니다
- K-패스: 월 최대 60회까지만 환급이 적용됩니다

추가 혜택:
- 기후동행카드: 서울시 문화시설 할인 혜택이 제공됩니다(예: 서울대공원 50% 할인)
- K-패스: 카드사별로 추가 할인 혜택이 있습니다(예: 대중교통 10% 추가 할인, 커피전문점 20% 할인 등)

개인의 거주지, 통근 패턴, 월 교통비 지출액을 고려하여 더 유리한 카드를 선택해야 합니다. 서울 내에서 주로 생활하는 경우 기후동행카드가, 수도권이나 타 지역을 자주 오가는 경우 K-패스가 더 경제적일 수 있습니다

 

 


 

 

기후동행카드로 환경 보호에 동참하세요!

기후동행카드는 대중교통 이용의 편리함뿐만 아니라, 친환경 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. 대중교통을 이용함으로써 탄소 배출을 줄이고, 따릉이를 통해 건강까지 챙길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해보세요. 서울에서의 생활을 조금 더 친환경적으로 바꾸고 싶다면, 지금 바로 기후동행카드를 발급받아 대중교통과 따릉이를 자유롭게 이용해보세요!

반응형

더 자세한 정보나 서비스 범위가 궁금하시다면,

 https://news.seoul.go.kr/traffic/archives/510963를 확인하세요

 

 

 

 

 

.

 

.

 

.

 

 

 

 
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

반응형